[전지구 해역] 해수면(+6.1cm, 상위 2위), 해면수온(+0.5℃, 상위 2위), 해상기온(+0.6℃, 상위 2위), 해상풍(+0.24m/s)은 평년보다 높았습니다. 유의파고(-0.20m, 하위 1위), 평균파주기(-0.63s, 하위 1위)는 평년보다 낮았습니다. 엘니뇨/라니냐 지수 및 인도양 쌍극진동 지수는 중립 상태입니다. 북극진동지수는 음의 상태입니다.
[동아시아해역] 해수면(+3.7cm), 해면수온(+1.3℃, 상위 1위), 해상기온(+1.3℃, 상위 2위), 해상강수량(+27.8mm), 해상풍(+0.84m/s, 상위 2위)은 평년보다 높았습니다.
유의파고(-0.23m), 평균파주기(-0.63s, 하위 2위)는 평년보다 낮았습니다.
[동해] 해수면(+6.4cm), 해면수온(+2.0℃, 상위 2위), 해상기온(+2.0℃, 상위 2위), 해상풍(+0.75m/s, 상위 3위)은 평년보다 높았습니다.
유의파고(-0.16m), 평균파주기(-0.46, 하위 3위)는 평년보다 낮았습니다.
[황해] 해수면(+5.9cm), 해면수온(+3.3℃, 상위 1위), 해상기온(+2.2℃, 상위 1위)은 평년보다 높았습니다.
해상강수량(+33.3mm), 해상풍(+0.69m/s), 유의파고(+0.11cm), 평균파주기(+0.27s)는 평년보다 높았습니다.
[동중국해] 해수면(+4.2cm), 해면수온(+2.0℃, 상위 1위), 해상기온(+2.2℃, 상위 1위), 해상풍(+0.85m/s)은 평년보다 높았습니다. 유의파고(-0.10m), 평균파주기(-0.17s)는 평년보다 낮았습니다.
[북극해] 해빙면적(-26.5%)은 평년보다 감소했습니다.
[남극해] 해빙면적(-9.2%)은 평년보다 감소했습니다.
<aside> <img src="/icons/microphone_blue.svg" alt="/icons/microphone_blue.svg" width="40px" /> 2024년 1월부터 보고서의 형식이 개편됩니다!
</aside>
<aside> 💡 해수면 높이는 가상의 지오이드면(Geoid, 중력포텐셜이 같은 면)을 기준으로 환산한 절대 해수면 높이(Absolute Dynamic Topography, ADT)로서 절댓값 보다는 상대적인 변화와 차이가 더 중요합니다.
</aside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