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aside> ✅ 3개월(3, 4, 5월) 평균 전망: 해수면, 해면수온, 해상기온은 전지구, 동아시아해역에서 평년보다 높겠습니다. 3월에서 5월로 갈수록 엘니뇨 감시구역의 해면수온 편차는 점차 감소하여 엘니뇨는 쇠퇴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 인도양 쌍극 진동지수는 중립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
</aside>
<aside> 🌐 해역별 전망 ○ (전지구) 해수면, 해면수온, 해상기온, 유의파고는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, 평균파주기는 평년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됩니다. ○ (동해) 해수면, 해면수온, 해상기온, 해상강수량, 유의파고는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됩니다. ○ (황해) 해면수온, 해상기온, 해상강수량, 유의파고는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됩니다. ○ (동중국해) 해수면, 해면수온, 해상기온, 해상강수량, 유의파고는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, 해상풍, 평균파주기는 평년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됩니다. ○ (북극해) 해면수온과 해상기온은 평년보다 높지만, 해빙면적은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
</aside>
<aside> 💡 3개월 해양기후 전망은 미국 해양대기청(NOAA) 계절예측시스템(CFSv2), 유럽 중기 예보센터(ECMWF) 계절예측시스템(SEAS5), 북극해빙통계모형(KAOS, Korea Arctic Ocean-data System) 예측자료를 기반으로 OCPC가 재분석하여 시범적으로 전망한 결과입니다. 본 계절 전망은 현재 기술의 예측성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실험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</aside>
<aside> <img src="/icons/microphone_purple.svg" alt="/icons/microphone_purple.svg" width="40px" /> 대기변수(해상기온, 해상강수량, 해면기압, 해상풍)의 과거자료와 통계값을 NCEP/NCAR-R1에서 ERA5로 변경하였습니다. (2022.12.30) 해수면, 해상기온, 해상강수량, 해상풍, 해빙의 평년 기간을 변경하였습니다. (해수면: 1993~2022년, 대기변수, 해빙: 1991~2020년) (2024.02.29) 해역별 3분위 판정(높음, 비슷함, 낮음)의 평년 구간이 (평년 평균 ± 표준편차×0.5)로 변경되었습니다. (2024.02.29) 편차 공간분포의 점표시 기준을 평년 표준편차×2 초과로 변경하여 이상치(outlier)를 표시하였습니다. (2024.02.29)
</aside>
<aside> 💡 해수면 높이는 가상의 지오이드면(Geoid, 중력포텐셜이 같은 면)을 기준으로 환산한 절대 해수면 높이(Absolute Dynamic Topography, ADT)로서 절댓값 보다는 상대적인 변화와 차이가 더 중요합니다.
</aside>
음영표시: 평년구간(평년평균±0.5 표준편차)
구간표시선: 평년평균±0.5표준편차, 가로실선: 3개월 평균 편차 전망 (주황색: 높음, 회색: 비슷함, 하늘색: 낮음)
A. 전지구 해수면 전망(2024년 3월~5월 평균)
B. 전지구 해수면(평년 3월~5월 평균)
A-B. 전지구 해수면 편차 전망(2024년 3월~5월 평균, 점표시: 평년 ±2 표준편차 초과해역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