🌐 지난 해양기후 분석정보 돌아보기
2023년 5월 해양기후 분석정보.pdf
요약 : 전지구 해수면, 해면수온, 해상기온은 역대 5월 중 가장 높았으며, 열대 동태평양에서 엘니뇨가 발생해 발달하고 있습니다. 남극 해빙 면적은 역대 5월 중 가장 작았습니다.
- [해수면] 전지구, 동아시아해역의 해수면은 평년보다 6.9~11.8cm 높았습니다. 전지구, 황해, 동중국해 해수면은 1993~2023년(5월) 중 가장 높았습니다.
- [해면수온] 전지구와 동아시아해역의 해면수온은 평년보다 0.4~1.8 °C 높았습니다. 특히 전지구와 동해는 1982~2023년(5월) 중 가장 높았습니다.
- 엘니뇨/라니냐 감시구역인 열대 태평양 Nino3.4 해역의 5월 평균 해면수온 편차는 0.5°C이고 Nino1+2해역은 2.1°C로 엘니뇨 상태입니다.
- 5월 평균 해면수온 분포로 산출한 인도양 쌍극진동 지수는 중립 상태(0°C)입니다.
- [해상기온] 전지구, 동아시아해역 평균 해상기온은 평년보다 0.4 ~ 1.5°C 높았습니다.
- [해상강수량] 전지구 해상강수량은 평년보다 3.7% 증가했으며, 동아시아해역, 동해, 황해, 동중국해의 해상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했습니다.
- [장강담수유입량] 중국 장강(양쯔강)으로부터 동중국해로의 담수 유입량은 평년보다 20.3% 감소했습니다.
- [해면기압] 전지구, 동아시아해역, 황해 평균 해면기압은 평년과 비슷했으며, 동해, 동중국해는 평년보다 각각 2.1hPa, 1.0hPa 높았습니다.
- [해상풍] 전지구 해상풍속은 평년보다 6.2% 강했으며, 동아시아해역 해상풍속은 평년과 비슷했습니다.
- [유의파고] 전지구, 동아시아해역, 동중국해의 평균 유의파고는 평년보다 0.1~0.2m 증가했으며, 특히 동아시아해역과 동중국해는 1981~2023년(5월) 중 가장 높았습니다.
- [평균파주기] 전지구 평균파주기는 평년과 비슷했으며, 동아시아해역은 평년보다 0.4초 증가했습니다.
- [해빙] 북극 해빙면적과 두께는 평년보다 각각 3.5%, 20.4% 감소했으며, 남극 해빙면적은 평년보다 17.7% 감소하여 1981 ~ 2023년(5월) 중 가장 작았습니다.
- [태풍] 북서태평양 5월 태풍 발생 수는 총 1개로 평년과 비슷했습니다. 2호 태풍 마와르(MAWAR)는 5월에 발생한 태풍 중 슈퍼 태풍 등급 (1분 유지 풍속 67m/s 이상; 미국 기준)을 가장 오래 유지한 태풍 (3.5일)으로 기록되었습니다.
해역별 특성
- [전지구 해역] 해수면은 평년보다 6.9cm 높았으며(상위 1위), 해면수온은 0.4°C 높았습니다(상위 1위).
해상기온은 평년보다 0.5°C 높았으며(상위 1위), 해상강수량은 3.7% 많았고, 해상풍속은 6.2% 강했습니다.
유의파고는 평년보다 0.1m 높았습니다.
엘니뇨/라니냐 지수는 엘니뇨 상태이며, 인도양 쌍극진동 지수는 중립상태입니다.
- [동아시아해역] 해수면은 평년보다 7.7cm 높았으며(상위1위), 해면수온은 1.3°C 높았고(상위 2위), 해상기온은 0.4°C 높았습니다(상위 1위).
유의파고는 평년보다 0.2m 높았으며(상위 1위), 평균파주기는 0.4초 증가했습니다.
- [동해] 해수면은 평년보다 8.6cm 높았으며(상위 3위), 해면수온은 1.8°C 높았습니다(상위 1위).
해상기온은 평년보다 1.5°C 높았으며(상위 3위), 해면기압은 2.1hPa 높았습니다.
- [황해] 해수면은 평년보다 11.8cm 높았으며(상위 1위), 해상기온은 1.1°C 높았고, 평균파주기는 0.3초 증가했습니다.
- [동중국해] 해수면은 평년보다 9.2cm 높았으며(상위 1위), 해면기압은 1.0hPa 높았습니다.
유의파고는 평년보다 0.2m 높았으며(상위 1위), 평균파주기는 0.6초 증가했습니다(상위 2위).
- [북극해] 해빙면적은 평년보다 3.5% 감소했으며, 해빙두께는 20.4% 감소했습니다.